알쓸신잡

재산세 납부 방법 (신용카드 전자납부 ARS 이택스)

누 버 2022. 7. 13. 01:03

재산세 납부시기는 7월, 9월이며 재산세 납부 방법은 총 5가지가 있습니다. 서울 세금 납부 STAX 어플, 이택스, 고지서 납부, 은행 직접 방문, ARS 전화 납부 입니다. 각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관련글보기

1. 서울시 STAX 앱

재산세 납부 방법 STAX 앱 설치재산세 납부 방법 STAX 앱 설치재산세 납부 방법 STAX 앱 설치
서울시 세금납부앱 STAX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세금 납부 어플인 STAX를 이용해 납부하실 수 있습니다. 휴대폰으로 이용 가능하며, 설치하시려면 아래 링크에서 설치 후 납부하시면 됩니다. 결제는 신용카드, 계좌이체, 간편결제 방법이 있습니다. 고객센터 문의는 1566-3900 입니다.

서울시 STAX 앱 실행 설치 👈 아이폰 전용

 

‎서울시 세금납부 - 서울시 STAX

‎[자세히 알아보기] 1) 서울시 세금납부에서 납부가능한 세금 * 지방세 : 취득세, 지방소득세, 레저세, 주민세, 자동차세, 재산세, 등록면허세 * 세외수입 : 벌금/과징금(과태료), 사용료, 수수료,

apps.apple.com

 

서울시 STAX 앱 실행 설치 👈 안드로이드 전용

2. 서울시 ETAX(이택스) 홈페이지

서울 이택스 홈페이지 화면

이택스는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홈택스와 같은 세무 업무를 할 수 있는 홈페이지 입니다.

서울시 이택스 홈페이지에서 전자납부번호 또는 납세번호를 입력 하면 납부하실 수 있습니다. 결제 수단은 카드결제, 계좌이체, 포인트 결제를 통해 가능 합니다.

이택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

3. 고지서 납부

고지서를 받으셨다면, 고지서에 적혀있는 11개 은행의 전용 계좌번호 중 편한 곳으로 이체하거나 지방 세입 계좌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QR코드 납부 방법

재산세 납부 QR 코드 촬영 결제

QR결제 가능한 앱을 실행 합니다. (페이코,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 앱 등) 종이고지서에 있는 QR을 촬영하여 결제를 진행 합니다.

 

4. 은행 방문

은행에 방문하셔서 은행 인출기를 통해 납부하실 수도 있습니다.

본인이 납부하는 경우 타인이 납부하는 경우
지방세(공과금) 납부 선택 후
통장 또는 카드 삽입
전자납부번호 선택,
전자납부번호 입력

재산세 납부 방법 은행 방문 인출기 지방세

타 은행 인출기기로 납부하는 경우, 1000원 이내 송금수수료가 부과되지만, 지방세입계좌로 납부하는 경우는 송금수수료 없이 납부 가능 합니다.

5. ARS 전화 납부

재산세 납부 방법 ARS 전화 번호

1599-3900으로 재산세를 납부할 수 있습니다.

 

지방세 등
조회 납부
1번 선택

전자
납부번호

납세번호


선택

전자납부번호
또는
납세번호
입력 후
# 누름
신용카드,
신한은행
계좌 납부


선택
각종
결제정보
입력
결제
승인
납부
완료

재산세에 관한 문의 사항은 서울시 마을 세무사납세자 보호관에게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마을 세무사는 자치구별 우리 마을 세무사를 확인해 해당 연락처로 신청해 상담 가능 합니다.

 

마을 세무사 현황 연락처 조회 👈

납세자 보호관의 상담이 필요한 경우 120 다산콜센터를 통해 요청하시면 됩니다.

함께 보면 유용한 정보

 

재산세 납부 기간, 분할납부 신청, 1가구 1주택 감면 부과

 

재산세 납부 기간, 분할납부 신청, 1가구 1주택 감면 부과

재산세란 토지, 건축물, 주택, 선박, 항공기를 보유한 사람에게 부과하는 세금 입니다. 올해 7월에 재산세 부과는 주택, 건축물, 항공기 등에 대해 총 2조 2,374억원이 확정 되었습니다. 지난해보다

picnic-life.tistory.com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청약과열지역) 지정 현황 확인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청약과열지역) 지정 현황 확인

투기과열지구와 청약과열지역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투기과열지구와 청약과열지역은 어디인지 지역별로 알아보고, 어디서 확인할 수 있는 지 살펴보겠습니다. 투기과열지구 지정 현황 투기과

picnic-life.tistory.com

분양가 상한제란? 개선 개편안, 조정 적용시기

 

분양가 상한제란? 개선 개편안, 조정 적용시기

분양가 상한제란 아파트의 분양가를 일정 수준 이하로 설정하는 제도 입니다. 1999년 이후 분양가 자율화 이후 분양가가 비싸 주택가격 급등에 따른 시장불안이 커지면서 실수요자 보호를 위해 2

picnic-lif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