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지역화폐 동백전은 올해 지역화폐 예산이 2배 이상 감소한 상황에서도 지난해와 같은 규모(1조 6천억원)로 동백전을 발행했습니다. 8월 중 발행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 됩니다. 이유는 올해 부산은행에 동백전 전담 창구가 생기면서 동백전 회원이 증가하여 사용량이 급증하였기 때문입니다.
동백전 발행계획

올해 발행계획 | 상반기 (1~6월) 발행액 |
하반기 (7월~12월) 발행가능액 |
발행율 | 월평균 발행액 |
1조 6천억 |
1조 3300억 |
2700억원 | 83% | 2217억 |
동백전 변경되는 사항

부산 지역화폐 동백전은 재정 여건과 다른 지역 동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끝에 충전한도와 캐시백 조정은 불가피하다는 결론이 났습니다. 그래서 8월부터 캐시백 5%, 충전한도는 30만원으로 축소 됩니다.
현재 다른 지역도 지역화폐 예산이 감소하면서 광주, 제주, 청주, 경주 등 일부 지역은 지역화폐가 잠정 중단된 상태이며, 인천, 대구, 대구 등도 캐시백과 같은 인센티브를 축소 운영하는 상황 입니다.
적용시기는 8월 ~ 12월까지이며, 차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벤트 할인 혜택
앞으로 부산시는 카드사별 이벤트, 추석 및 연말 이벤트, 제로페이 할인 등 추가 혜택을 제공할 계획 입니다.
1. 카드사 이벤트


부산은행, 하나카드는 8월 1달간 일정 금액 이상 동백전 카드 사용자를 대상으로 이벤트 추진 예정 입니다. 추첨을 통해 경품과 동백전 추가 캐시백(최대 3만원) 제공 예정 입니다.
2. 추석 / 연말 이벤트

추석와 연말에는 정부 2차 추경을 통해 확보한 예산 92억원을 투입해 추가 캐시백 지원 예정 입니다.
3. 제로페이 할인
8월 8일부터 제로페이를 월 30만원 한도 내에서 10%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소비쿠폰을 발행 합니다.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완화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전국 지역화폐 발행 현황
시도 | 지역화폐 | 변경사항 | 비고 | |
충전한도 | 할인율 (캐시백) |
|||
인천 | 인천e음 | 50→30만원 | 10→5% | 7월 시행 추경예정 |
대전 | 온통대전 | 50→30만원 | 10→5% | 8월 시행 추경예정 |
대구 | 대구행복페이 | 50→30만원 | 10% 유지 | 예산소진시 중단예정 |
광주 | 광주상생카드 | 6월 9일이후 잠정중단 |
추경이후 10월 재개예정 |
|
제주 | 탐나는전 | 4월 이후 잠정중단 |
8월 재개예정 |
|
청주 | 청주페이 | 6월 24일 이후 잠정중단 |
||
경주 | 경주페이 | 7월 이후 잠정중단 |
추경예산 확보 후 재개예정 |
사람들이 많이 본 글
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 방법, 신청 비용 정리
현재 소지하는 플라스틱 신분증은 늘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과 위조나 변조가 용이하며, 내구성이 취약하고, 개인정보 노출의 위험 등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 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시
picnic-life.tistory.com
실수로 잘못 송금한 돈 돌려받는 방법 (착오송금 반환지원제도)
실수로 잘못 송금한 돈 돌려받는 방법 (착오송금 반환지원제도)
실수로 돈을 잘못 보내셨나요? 걱정하지 마세요. 예금보험공사가 도와드립니다. 2021년 7월 2일 이후 발생한 잘못 송금한 돈에 대해 '착오송금 반환지원제도'를 통해 다시 돌려 받을 수 있습니다.
picnic-life.tistory.com
미수령 근로·자녀 장려금 찾기 - 국세 환급금 조회
장려금 수급자가 찾아가지 않은 근로장려금 및 자녀장려금이 올해 현재까지 3만 가구, 132억이라고 합니다. 미수령 장려금을 확인하려면 '국세환급금 찾기'를 통해 조회 하실 수 있습니다. 미수
picnic-life.tistory.com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추석 승차권 예매 방법, 잔여석, 취소 위약금 (KTX 무궁화) (0) | 2022.08.04 |
---|---|
명절 기차 승차권 예매 전용 홈페이지 (설날, 추석) 바로가기 (0) | 2022.08.04 |
삼쩜삼 세무 대리인 해지, 탈퇴 방법 (환급금 조회 앱) (0) | 2022.07.26 |
재산세 납부 방법 (신용카드 전자납부 ARS 이택스) (0) | 2022.07.13 |
재산세 납부 기간, 분할납부 신청, 1가구 1주택 감면 부과 (0) | 2022.07.13 |